고정 소수점(固定(굳을 고, 정할 정)소수점) -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소수점을 뜻한다. 부동소수점(浮動(뜰 부, 움직일 동)소수점) - 고정되지 않고 움직이는 소수점을 뜻한다. - 부동소수점은 IEEE 754 표현에 따라 m은 1.XXXX의 형태로 만들기로 정해져 있다. 이들은 컴퓨터에서 취급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2진수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보겠다. 1234.5678 이라는 고정 소수점이 있다. 이를 부동 소수점으로 바꾸기 위해선 아래와 같은 형태를 가질것이다. 1.2345678 x 10^3, 0.12345678 x 10^4 등등 .. 우리는 해당 소수점을 컴퓨터 내에서 사용한다. 그말인 즉슨 2진수의 형태로 사용한다는 것이다. 컴퓨터에서 사용하기 위해 2진수로 바꾸는 방법을 살펴보자 0.125를 2진..